'변방에 우짖는 새'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2.04.12 소설 다시 읽기 - 변방에 우짖는 새
打字錄2012. 4. 12. 23:24

날짜에 구애받는 독서습관이 몇 가지 있다. 매년 2월 말이면 쇼팽의 생일을 기려 히라노 게이치로의 "장송"을 읽는다. 8월이면 리히터大人이 떠난 날을 기려야 한다. 지난주부터 지하철과 버스 안에서 현기영의 "변방에 우짖는 새"를 틈틈히 읽은 이유도 그렇다. 4.3이다. 물론 "순이삼촌"을 읽는 게 더 적절할 것이다. 하지만 물 건너 변방, 한 나라이지만 권리를 챙겨먹기보다는 수탈당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았던 기구한 섬과 섬사람들의 살림살이의 근원을 돌아보기에는 이 책이 더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었다.


이번에 다시 읽으면서 눈에 들어온 것은, 현기영이 자유자재로 구사하고 있는 제주도의 입말이었다. 이번에는 모르는 단어 하나 하나를 밑줄 쳐 가며, 사전을 찾아가며 읽었다. 재미있는 점. 내가 책상 옆에 두고 가까이 하는 사전은 남영신 선생의 "한+국어사전"이다. 이 사전에는 예문이 한국 문학/신문에서 뽑혀나온다. 내가 대개 몰랐던 단어는 제주도 토속어였는데, 그런 단어를 찾으면 예문이 바로 내가 찾은 문장이었다. "테우리"같은 단어가 그랬다.


이 책에는 두 건의 민란이 서술되어있다. 현기영의 설명대로, 방성칠난은 가혹한 삼정의 문란으로 인해 봉기가 촉발되고 스러저간, 단순한 민란이었다. 그에 반해, 박광수의 "망작"으로 기억되는 이재수의 난은, 가혹한 세폐에 시달리던 사람들이 외세를 등에 업은 천주교의 권력 장막속으로 도피했다가, 그 세를 등에 업고 가혹한 세폐에 시달리던 사람들을 다시 억압하는 과정에서 촉발된, 꽤나 복잡한 양상을 띄는 민란이었다. 그렇기에 방성칠난에서는 갈등의 축이 "제주 관아와 그 편을 드는 양반들 - 제주 백성"으로 깔끔하게 정리되는데 반해, 책 하반부 이제수의 난은 "수탈당하는 제주 백성 - 교회의 세력을 업은 백성 - 제주 관아와 그 편을 드는 양반 - 그 틈에 어떻게 끼어보려고 하는 외세 - 중앙 조정"의 복잡한 축으로 전개된다.


주목해 읽어야 할 부분은 학정에 시달리는 백성들이 교회의 품에 안겼다가, 그 권세를 등에 업고 자기와 별반 다르지 않는 백성들에게 패악질을 부리는 양상이다. 조금 비약을 해서 현실을 보자면, 별반 다르지 않은 권리와 의무를 지닌 현대의 공화국 시민들이 운/실력/세습에 의해 조금씩 나뉘어진 계급(정확한 표현은 아니지만) 사이의 갈등이 과도하게 부각되고, 그것이 과도한 간극의 행위로 이어지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세대간의 차이, 지역감정으로 인해, 그리고 또 조금의 사회적 자본을 더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계급의 사람을 멸시하고 감정의 골을 세우고 그것이 또 정치적 의견과 표로 반영되고.


딱 논리적으로 이어지는 생각은 아니다. 복잡한 시기에 복잡한 갈등을 다룬 책을 읽었기 때문이리라.     

Posted by mannerist